흡연 (Smoking)
한국 금연 연구소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성인 여성 흡연율은 8-10%정도로 추산된다. 흡연을 통해 태아는 일산화 탄소(carbon monoxide), 니코틴(nicotine) 외에도 씨아나이드(cyanide), 벤조피렌 등 4,000가지 이상의 화학물에 노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임신 중 흡연은 저체중아, 조산, 자연유산, 주산기 사망률, 자궁외 임신, 영아 돌연사 증후군(SIDS)과 연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(38-41) 일반적으로 태아 적혈구의 높은 일산화탄소 결합력으로 인해, 태아는 모체보다 높은 일산화탄소-적혈구 농도를 보이며 세포로의 산소 운반을 감소시키며 태아 세포 및 신경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.(42, 43)
흡연으로 인한 임신 중 합병증은 금연으로 예방이 가능하다. 임신 중 금연 성공률은 20%정도에 머무르고 있으므로, 임신전에 금연이 권장된다. (41,45)